top of page
Writer's pictureKate Lee

Interview with Han Kyung-Hee,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Han Kyung-Hee is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Korean Council for Justice and Remembrance for the Issue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Part of her work is to oversee the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in Seoul, which commemorates the stories of the “comfort women” of World War II. Recently, she kindly sat down with me for an interview, which you can read below in English or Korean.


English


How did you become interested in war and women's human rights? Can you tell us about your career journey?


I started as a civil servant in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I also worked in a private civic group for women’s gender equality. As I became interested in women's human rights, I became active in the Korea Volunteer Corps Countermeasures Council and joined the Justice and Memory Solidarity in 2018.


What are you currently doing as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Korean Council for Justice and Remembrance for the Issue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We support the Wednesday Demonstration and comfort women survivors. Through joint activities with various solidarity organizations in Korea and abroad, the stories of comfort women are being shared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Through the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we are in charge of activities such as remembering and educating the past, and building archives to publicize it to the world.


How was the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started?


In the early 1990s, the issue of comfort women for the Japanese military was revealed to the world, and activities to hold Japan accountable and infor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egan. In the early 2000s, it was recognized as a war crim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gained support from many people.


A commission to build a museum was started in 2003 to represent the voices of the victims and educate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It took more than 10 years of preparation through a fundraising campaign to build the museum and the talent donations of architects. Funds were raised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and the museum was erected on May 5, 2012.


May 5th is Children's Day in Korea, and it implies the hope that the museum will be used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future generations to remember the past and contribute to the future.


What are the goals of the museum?


The museum was created for a just resolution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for this to be documented, educated, and to spread this message of peace more widely. It is a living museum that moves 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t is a museum that radiates messages to practice, remembrance, and action for women's human rights and peace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Truth doesn't build itself. Even now, there is still history denial and victim hatred. And since the perpetrators do not acknowledge their responsibility, denial of the dark history and human rights hatred for the victims continue to grow like poisonous mushrooms. In order for such injustice not to occur in the future and for human rights and peace to spread, we must remember the history that must never be forgotten in order to move forward. That is why we must stand in solidarity centered on this memory and stand up against actions that violate human rights. The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is conveying this message.


Participants in the 1400th Wednesday demonstration demand an apology and compensation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regarding the comfort women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in Seoul on August 14th 2019. Image courtesy of Hankyoreh.


Please explain the meaning of the Wednesday demonstration and the statue of the girl of peace.


The Wednesday demonstration first started on January 8, 1992. A Wednesday demonstration is held every Wednesday at 12:00 in front of the statue of a girl near the Japanese Embassy, ​​and has been held continuously over 1,530 times for 30 years. Each time, more than 100 citizens, 100 students come voluntarily, sometimes 200, sometimes 300. Starting with a party of a few dozen people, people continue to come to protests. Young students also come, they come on school trips, club history tours, from the region, from the provinces. Hundreds of citizens and students from Seoul, provinces and all over the country arrive each time.


People gather at the Wednesday demonstration to speak about the issue of comfort women for the Japanese military and other issues of women's human rights. Those coming to the demonstration and talking to each other and educating each other are not only Koreans, but also foreigners who are interested in women's rights and the issue of comfort women for the Japanese military. Through this discourse, people are able to learn history, promote the value of human rights and peace, and now ask for more solidarity with women's human rights issues and women's sexual exploitation issues in their own foreign countries.


The Wednesday Demonstration has been going on for the past 30 years as a venue for education, culture, and solidarity among people around the world. At first, there were opposing forces and difficulties abounded. There were not many people gathering. However, more and more this issue touched many people's hearts and sympathized with them, and as the Wednesday Demonstration changed and developed in this way, education helped to develop women's human rights.


But recently, forces that deny history and hate towards victims have grown, and behaviors that interfere with Wednesday demonstrations have increased greatly. It hurts me very much. As the Japanese government hasn't acknowledged its responsibility in the past and no formal apology for a just resolution was made despite the long-standing request, and as Japan’s conservative, political actions to avoid this responsibility became stronger, it seems that the forces following this wrong perception and wrong history have spread. So, the issue of comfort women for the Japanese military is not just a problem of the past, but a problem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at are still happening. This means that remembering and recording the truth does not happen automatically. We have to talk together in solidarity so that the truth will not be folded. You must constantly remember correctly.


The Statue of Peace was first erected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on December 14, 2011 with donations from citizens, and has since been erected all over the country. The Statue of Peace is not only a symbol of the victims of comfort women in the Japanese military, but also a symbol of our commitment to universal women's human rights and our desire for repentance.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140 statues of comfort women in Korea and 18 overseas. We didn't build the statue of a girl overseas. The statue of a girl is a symbol of commitment to universal women's human rights and pursuit of peace, and so many ordinary citizens who share this meaning voluntarily gathered their hearts and raised money in the region to create it. It is the same both in Korea and abroad; this problem is not unique to Korea. Since women throughout Asia suffered from sexual slavery in the Japanese military and this is also a universal issue of women's human rights, we must remember this painful history and history of human rights violations.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again, to let people know how precious peace is, statues of comfort women are being made all over the world. So even now, in fact, this problem is not stuck in the past. Let me take the example of the statue of a girl of peace in Berlin, Germany. Last time, there was an incident in Germany where an Asian woman was shot for being the target of racial hatred. After that incident, Germans held a candlelight solidarity protest in front of a statue of a girl in Berlin, Germany, with the issue of condemning a crime caused by racial hatred and prejudice against the woman and that this should never happen again. The Statue of Peace is becoming a base for the solidarity of people pursuing various women's rights. The meaning of the Statue of Peace is not simply staying in the past. It is becoming a base for action and solidarity of citizens working together for human rights and peace.


Please tell us about the achievements of the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so far.


Although the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is small, many people visit it. About 2,000 people visit each month. There are many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who want to know about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for the Japanese military. It's a small museum in this small town. To that extent, this issue is becoming a great educational and memory place to remember human rights and engrave the value of peace in mind. Special exhibitions are planned every year here, and education for young people is also conducted. And now, we are creating a digital archive where more people around the world can share the value of human rights and peace, regardless of location.


Finally, what can we as individuals, or as a society, do to help this issue?


History issues are not just things in the past, and constantly remembering is to learn from history. And if you don't learn, the mistakes of history can be repeated in a different way. Learning and remembering history is the process of realizing how precious human rights and peace are to us. I hope that I am not the only one who is interested in and practices, but I want people around me to know and work together. And I think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uch as the United Nations, should more actively recommend and exert pressure on Japan.


Thank you so much!



Korean


전쟁과여성인권에 관심을 갖고 이일을 하게된 계기와 사무총장님의 커리어 출발부터 현재까지의 커리어 과정을 말씀해주세요.


저는 한국정부의 ‘여성부’에서 공무원으로 일했던 경험을 시작으로, 여성 성평등을 위한 민간시민단체에서도 일하게 되었습니다. 여성인권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한국정신대문제 대책 협의회’ 에서 활동하게 되었고, 2018년부터 ‘정의기억연대’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정의기억연대의 사무총장으로서 현재 하고계시는 일들을 말씀해주세요.


수요시위와 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을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외국의 여러 연대단체들과의 연합활동을 통해서 세계 국제기구에 위안부 이슈를 알리고 있습니다.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을 통해 과거를 기억하고 교육하기 위한 활동들, 세계에 널리 알리기 위한 아카이브 등의 업무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의 탄생과 시작을 설명해주세요.


1990년대 초,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고 일본에 책임을 묻고 국제사회에 알리는 활동이 시작되었어요. 2000년대 초, 국제사회에서 전쟁범죄로 인지하게되었고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게되었습니다.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현재와 미래 세대에 대한 교육을 위해 박물관 건립 위원회가 2003년 시작되었어요. 박물관을 짓기 위한 모금운동과 건축가들의 재능기부로 10년 이상의 준비 기간이 걸렸습니다. 한국과 세계곳곳에서 모금을 받았고 2012년 5월 5일에 건립이 되었어요. 5월 5일은 한국에서 어린이날인데요 미래 세대가 과거를 기억하고 미래에 기여하는 교육의 방식으로 박물관이 쓰여지길 바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어요.


박물관의 설립목표와 박물관을 통해 전하고싶은 메세지는 어떤것이 있나요?


박물관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 그리고 이것이 기록되고 교육되고 이 평화 메시지가 더 널리 퍼지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과거, 현재, 미래로 살아 움직이는 생동하는 박물관이에요.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여성 인권과 평화를 실천하고 기억하고 행동하는 메세지를 발산하고 있는 박물관입니다. 진실은 저절로 세워지지 않습니다. 지금도 역사 부정과 피해자 혐오가 여전히 있습니다. 그리고 가해자가 그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 어두운 역사에 대한 부정과 피해자에 대한 인권혐오, 이런 것들이 계속 독버섯처럼 자라나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이런 부정이 일어나지 않고 인권과 평화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되는 역사를 반드시 기억해야 앞으로 나아갈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기억을 중심으로 연대해서 인권을 침해하는 행동에 맞서야 되는 것입니다.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은 이런 메세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수요 시위와 평화의 소녀상의 의미를 설명해주세요. 수요 시위에 참여하셨던 경험을 나눠주시고, 평화의 소녀상을 세우고 보존하기 위한 과정을 말씀해주세요.


수요시위는 1992년 1월 8일에 처음 시작됐어요. 수요시위가 매주 수요일 12시에 일본대사관 근처 소녀상 앞에서 열리는데 30년동안 1530회 이상 끊임없이 열리고 있습니다. 매번 100명 이상의 시민들, 자발적으로 오신 학생들이 뭐 백 명, 어떨 땐 200명, 어떨 땐 300명. 그러면 몇 십 명 당에서부터 시작해서 계속 시위, 시위 오시는 거예요. 그러면서 젊은 학생들이 나와서 그러니까 수학여행으로도 오고 동아리 역사탐방으로도 오고 지역에서도 오고 지방에서도 오고. 서울과 지방, 전국에서 오는 시민들과 학생들이 매번 몇백명씩 됩니다. 수요시위에 모인 사람들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발언하고, 다른 어떤 여성인권의 문제에 대해서도 발언합니다. 그렇게 서로 서로 발언하면서 서로 서로 교육하고, 그리고 한국사람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여성인권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 외국 사람들이 수요시위에 오기도 합니다. 그래서 역사를 배우고 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서로 확인하고, 그리고 이제 또 자신의 외국 나라에서 있었던 어떤 여성인권의 이슈, 여성 성 착취의 이슈를 함께 더 연대해달라고 얘기합니다. 수요시위는 교육과 문화와 세계인의 연대의 장이 되어 지난 30년 동안 이어져오고 있어요. 처음에는 반대 세력이 있었고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모이는 사람도 많지않았습니다. 그러나 점점 더 이 문제가 여러 사람들에게 마음에 와 닿았고 공감을 하게 됐고, 그러면서 수요시위가 이렇게 변화하고 발전하면서 교육함으로서 여성인권이 발전하는데 보탬이 된 것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역사를 부정하고 피해자를 혐오하는 역사 부정세력이 커지고 수요시위를 방해하는 행동들이 굉장히 커졌어요. 그래서 굉장히 마음이 아픕니다. 일본 정부가 과거의 책임을 인정하고 어떤 공식적으로 사죄하는 정의로운 해결이 정말 오랫 동안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지지 않아서 그리고 또 일본이 굉장히 보수화 되면서 이런 책임을 회피하려는 정치 행위가 강해지면서, 그 결과 그 이러한 잘못된 인식과 그리고 잘못된 역사를 추종하는 세력들이 확산되었다라고 보여져요. 그래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단지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인권 침해의 문제입니다. 진실이 진실로 우리에게 기억되고 기록되는게 저절로 되는 게 아니라는 거죠. 진실이 접혀지지 않도록 같이 연대해서 끊임없이 얘기해야 돼요. 끊임없이 올바르게 기억해야 됩니다.


평화의 소녀상은 2011년 12월 14일에 시민들의 성금으로 일본대사관 앞에 처음 세워진 이후 전국 곳곳에 세워지게 되었어요. 평화의 소녀상은 일본군 위안부들의 피해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보편적인 여성 인권을 위한 다짐과 참회를 바라는 마음의 상징입니다. 현재 한국에는 140개 이상의 소녀상이 있고, 해외에도 18개가 있어요. 해외에 세워진 소녀상도 저희가 지은 게 아니에요. 소녀상이 보편적 여성인권을 위한 다짐과 평화를 추구하는 어떤 상징으로서, 이런 의미를 공유하는 정말 많은 일반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지역에서 마음을 모으고 돈을 모으고 해서 만든 거예요. 한국에서도 해외에서도 마찬가지예요. 이 문제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잖아요. 아시아 전체에 여성들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겪었고 이것이 또한 보편적인 여성 인권의 문제이기 때문에, 상처가 아픈 역사이고 인권 침해의 역사이고 그래서 우리는 기억해야 됩니다. 다시는 이러한 일이 안 일어나기 위해서 평화는 얼마나 소중한지 알려주기 위해서. 그래서 그 상징으로서 평화의 소녀상이 전세계에서 만들어지고있는 것이죠. 그래서 지금도 사실 이 문제는 과거에 갇혀 있지 않아요. 독일의 베를린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을 예를 들어 볼게요. 지난번에 독일에서 아시안 여성이 인종적인 혐오의 대상이 돼서 총격을 당하는 사건이 있었어요. 그 사건이후 그 여성에 대한 어떤 인종적 혐오, 편견에 의한 범죄를 규탄하며 다시는 이런 일이 있으면 안된다는 이슈로 독일, 베를린에 있는 소녀상 앞에서 독일인들이 촛불 연대 시위를 했어요. 평화의 소녀상이 여러가지 여성인권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연대를 위한 거점이 되고있어요. 평화의 소녀상의 의미는 단순히 과거에 머무르는 게 아닙니다. 인권과 평화를 위해 함께하는 시민들의 행동과 연대의 거점이 되고 있어요.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의 지금까지의 성과를 말씀해주세요.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은 작은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고있어요. 한 달에 2000여 명이 방문합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일본군 위안부의 역사에 대해 알고자 하는 분들이 많이 오고있어요. 이 작은 동네에 있는 작은 박물관에요. 그만큼 이 이슈가 인권을 기억하고 평화의 가치를 마음에 새기는데 훌륭한 교육적인 장소와 기억의 장소가 되어 가는 거죠. 이곳에서는 매년 특별한 전시들도 기획하고 있고요 청소년 대상의 교육도 진행을 합니다. 그리고 현재는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더 많은 세계인들이 함께 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공유할수있는 디지털 아카이브를 만들고 있습니다.


앞으로 좀더 널리 알리고 결실을 맺으려면, 개인과 사회가 각기 어떤 방향으로 노력해야 하는지 총장님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역사 문제는 단지 지난 일이 아닌 것이고, 끊임없이 기억하는 것은 역사로부터 배우기 위한 거잖아요. 그리고 배우지 않으면 다른 모습으로 역사의 잘못이 반복될수 있어요. 역사를 배우고 기억하는 것은 인권과 평화가 얼마나 우리에게 소중한지도 깨달아가는 과정인 것입니다. 나 혼자만 관심갖고 실천하는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고 같이 함께하는 노력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유엔같은 국제사회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일본에게 권고해야 되고 압력을 행사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Learn more about the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here.


25 views
bottom of page